다이어트를 위해 많은 분들이 저칼로리 음식을 선호하는 문화가 계속되고 있는데요, 각종 가공식품들도 0kcal 또는 무설탕 상품들이 인기를 끌고 있습니다. 그리고 면을 대체하기 위해 곤약면을 먹기도 하는데요, 그런데 과민성대장 증후군을 앓고 있는 경우 곤약을 먹게되면 매우 좋지 않은 영향을 끼친다는 것을 알고계셨나요?
따라서 오늘은 이러한 곤약의 과민성 대장증후군에 대한 영향을 알아보려고 합니다. 다이어트에 관심이 많으신 분들이나 과민성 증후군을 앓고 계신분들은 이 글의 내용을 꼭 참조해보세요~!
곤약이란?
곤약은 저칼로리 식품으로 유명하며 그자체로는 별다른 맛이 없지만 탱글탱글한 식감을 가진 것이 특징입니다. 주로 면이나, 젤리, 꼬치 등으로 판매되며 100g에 10kcal 이하의 매우 낮은 칼로리를 가지고 있습니다. 또한 주 성분은 글루코만난이라는 식이섬유로 섭취했을 때 신체내에서 소화하지 못해 포도당 등으로 분해되지 않고 체내에서 물을 흡수하며 소화되다가 그대로 배출되어 버립니다.
따라서 다이어트시에 곤약을 먹게되면 체내에 흡수되지 않지만 무언가를 먹는 행위를 할 수 있기 때문에, 정신적인 포만감을 주기 때문에 다이어트에 도움이 된다고 하는 것입니다. 단 이 곤약을 많이 먹게 되면 체내에서 가스가 과하게 생성되어 소화불량 및 복통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
곤약을 먹으면 배가 아픈이유
곤약은 식이섬유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장내에서 미생물에 의해 발효되며 가스가 생성됩니다. 이러한 가스는 복부 팽만, 설사, 복통 등을 일으키며 과민성대장증후군을 앓고 있어 장이 예민한 경우 이러한 증상은 더욱 심해집니다.
또한 곤약은 체내에서 소화되는 과정에서 몸에 있는 수분을 빼앗가기 때문에 수분과 만나면 곤약내 식이섬유는 크게 30배까지도 팽창하고 지속시간도 10시간가량 간다고 합니다. 이러한 경우 변비 현상을 유발할 수도 있습니다. 따라서 체내에서 팽창할 수 있는 양을 감안해서 소량만 섭취하는 것이 좋으며 곤약 섭취시에는 충분한 물을 함께 섭취해주는 것이 좋습니다.
곤약 및 식이섬유 얼마나 먹는게 좋을까?
보건복지부의 한국인 영양소 섭취기준을 통해 알아본 결과 성인 기준 여성20g, 남성30g의 식이섬유를 섭취하면 충분하다고 합니다. 식이섬유를 과다 섭취하게 되면 소화장애와 더불어 칼슘이나 비타민 등의 흡수를 방해할 수 있기 때문에 주의하는것이 좋습니다.
식이섬유가 다량 함유된 음식은 다음과 같습니다.
- 각종 채소류 : 시금치, 김, 감자, 당근, 우엉, 고구마, 옥수수, 브로콜리 ,양배추 등의 채소
- 해조류 : 다시마, 미역등의 해조류
- 견과류 : 아몬드, 땅콩, 캐슈넛 등의 견과류
- 잡곡류 : 현미, 보리, 율무등의 곡류
하루 식이섬유 권장 섭취량인 20~30g의 식이섬유는 보리, 현미등의 잡곡밥과, 채소, 생과일 등 평소 섭취하는 식품의 양만으로도 충분히 보충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아몬드 반컵에는 무려 9g의 식이섬유가 들어있고 이는 일일 권장량의 약 절반에 해당합니다. 즉 따로 식이섬유를 섭취하지 않아도 일일 권장량은 충분히 채울 수 있습니다.
곤약 오늘의 결론
성인 기준 하루 식이섬유 권장 섭취량은 20-30g 수준으로 일반식을 통해 충분히 권장 섭취량에 해당하는 양을 섭취할 수 있으므로 과민성대장증후군을 앓는다던가 장이 좋지 않다면 추가적인 식이섬유 섭취를 자제하고, 섭취시엔 반드시 적정량 섭취와 충분한 수분을 함께 섭취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좋습니다.
또한 다이어트시 소량의 곤약으로 한끼를 대체할 순 있으나 너무 자주 먹는 것은 좋지 않습니다. 충분한 영양분이 있는 다양한 음식을 섭취하고 건강하게 운동해서 빼는 것이 올바른 다이어트 방법인 것 같습니다.
'건강 > 식품 건강'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검은콩의 효능 갱년기 여성에게 추천! (0) | 2023.12.02 |
---|---|
운동 전 녹색 채소와 샐러드 먹지마세요 큰일납니다.! (0) | 2023.12.02 |
아침 공복에 마시는 물의 효능, 단 반드시 주의해야할 점 3가지 (0) | 2023.11.30 |
감기걸려서 속 안좋을 때, 소화 잘되는 음식들 추천 (0) | 2023.11.28 |
소주 숙취, 숙취 줄이는 방법, 숙취의 원리 (0) | 2023.11.25 |